질문등록
mybee19 2017-05-16 오후 11:34:46
선생님 Check 교재는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 그냥 채점 후 오답만 확인하고 넘어가면 되나요..?
r29624 2017-05-16 오전 12:12:58

선생님,

A에 1번의 4번 답지에서 말하는 '실천'이라는 것은 '정약용'만 해당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32번의 2번 답지가 왜 답인지 해설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eyescat123 2017-05-15 오전 1:09:27


쌤 B1에 8쪽 19번에서요

고전소설인데 보기2번에  '필연성'이라는 말이 나오길래

'고전소설에서 필연성이나 인과관계가 나오면 무조건 아니다' 라는 선생님말씀이 떠올라 바로 아니라고 체크했는데 맞는 답지였어요..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건가요? 그런거라면 바로잡아주세요..

eyescat123 2017-05-15 오전 1:05:56


선생님 문학작품 읽을 때 <보기>가 주어지면 읽지 말라고 하셔서 그러고 있는데

혹시 문학작품 2개정도 주어지고 (가)에서 길게 밑의 문학작품들의 배경지식 같은 게 주어지는 문제 유형에서도

(가)부분은 안읽고 풀어도 되나요?

그 부분은 대부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고 시간도 줄일 겸 해서 전 최대한 안읽고 밑줄쳐져있는 부분과 그 근처만 읽고 풀고 있는데

아리까리한 답지가 나오면 (가)를 다시 읽어보면 거기에 결정적표현이 나와있는 경우가 꽤있더라구요.

이런 문제 유형에서 (가)부분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eyescat123 2017-05-15 오전 12:58:26

선생님 A1 34쪽에서요 (가)의 ㄱ에서 통일성이란게 내용측면에서 통일된다는 것 아닌가요? 아으 동동다리는 이별의 내용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해서 1번을 골랐는데 다시 밑까지 읽어보니까 3번이 맞네요.

아으 동동다리와 위증즐가 대평성대는 그러면 ㄱ,ㄴ,ㄷ의 특징을 모두 갖는 건가요?

 

erickang0311 2017-05-14 오후 7:56:23
독자가  상황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한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ljw0358 2017-05-13 오후 9:52:29

                           

1. 선생님께서 '시적 긴장감을 조성한다'라는 말은 항상 맞다고 하셨는데 왜 그런 건가요? 그리고 이게 현대시 뿐만 아니라 시면 모두 맞는 건가요?

2. 대상과의 친밀감은 언제 느껴지는 건가요?

3. 시에서 다양한 감각적 심상이 쓰였다 라고 하면 항상 맞는 건가요? 

4. 윤동주의 또 다른 고향이랑 오세영의 자화상 2 에서 공간의 대비가 나타난다는 게 맞는 말이었는데 

고향-또 다른 고향, 지평선-인가의 안마당 의 구조를 시를 읽으며 파악했어야 하는 건가요?

저는 읽으면서 그걸 못 느꼈어서요... 

그리고 시를 읽으면서 이 구조가 중요하다는 걸 어떻게 느낄 수 있는 건가요? 단서가 있는 건가요? 

sse276 2017-05-11 오후 4:38:13

check part1에서

4번.   4번선지에서의 '상황'이 어디에 제시되었나요?? "감정노동자가 겪는 문제는 단지 그들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해당될 수 있는 문제이다." 이 문장만으로 상황이 제시되었다고 보는것인가요?

9번. 선지 1번과 5번을...알려주세요 ㅠㅠ 무슨 불규칙인지..

10번. 선지 1번은 단어의 중의성, 문장의 구조로 인한 중의성, 부정표현으로 인한 중의성, 상황에 따른 중의성 중 무엇인가요? 그리고 선지 5번은 어떻게 중의적으로 해석되는지 궁금합니다.

12번. 대상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에 대해 수업시간에 언급하셨는데,, 독백을 '나'라는 대상에게 말을건넨다고 보면 안되겠죠..?ㅎ(선지 2번). 그리고 선지4번에서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예전에 부조리한 현실이라고 하셨는데(맞나요??)..이육사는 부조리한 현실에서 살아왔는데 이 시에서는 부조리한 현실이 언급되지 않은것같기도 하고,, 이럴땐 어떡해야할까요??

13번. 선지3번에서 "'나와' 또다른'나'"라는 부분에서의 시어의 의미파악은 그럼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15번. 저번수업시간에 '옳은것은?'을 찾는 문제에서는 예를들면 1.역설적 표현을 통해~라는 선지가 있고 그 역설적 표현이 눈에 안보일 때 일단 넘어가라 하셨는데, 15번에서 선지1번에도 역설적표현을 찾아야 하는데 모르겠어서 넘어가고싶지만 이 문제는"적절하지 않은 것은?'을 찾는 문제라 넘어가도 될지 판단이 안섭니다. 이럴땐 '옳은것은'을 찾는 문제처럼 넘어가야하나요?  아님 꼼꼼히 찾아봐야하나요?

17번. 예전 수업시간때 '세밀한 묘사'라는 구에 대해 한단락정도 묘사를 하지 않는 이상 세밀한 묘사는 옳지 않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그냥'묘사'는 한줄만 묘사해도 묘사가 있다고 해야 하나요?? 예를들면 선지 5번이요,,

20번. 중요 한자성어를 따로 뽑아서 공부하고 싶은데,, 어디서 구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