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ms0946 2017-03-02 오후 5:14:03
제가 과제에 있는 모든 지문을 문단요약하는데 답지에 문단별 핵심내용이 없을때가 많아서 잘한건지 모룰때가 많습니다 답지에 항상 문단별 핵심내용 정리를 넣어주시면 안될까요?
lini5675 2017-03-01 오후 11:46:07

제가 수특 문학을 풀었는데요 선생님께서 문학은 무조건 'A를 통해 B를 드러내고 있다'로 나오고 A와 B는 아무 상관이 없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송수권 '여승'이라는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특정 종결 어미를 통해 대상에 대한 태도를 부각하고 있다'가 틀린 것으로 정답이 되어 있어요. 이 시에서 '~다'라는 종결 어미만 사용했고, 대상에 대한 동경하는 태도도 분명하게 나와있는데 답지에서 '~다'는 대상에 대한 태도를 부각하지 않기 때문에, 즉 다른 말로 A와 B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틀린 답이라고 한 것 같은데 왜 그런 건가요??

lini5675 2017-03-01 오후 11:23:12
3.1교재 21쪽에 (나)시에서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하고 남이 아니다' 와 (다)시에서 16번, 21번22번 문장 해석이 어떻게 돼요?
jacker9904 2017-03-01 오후 10:25:47


교재 22쪽 '그 나무' 라는 시에서 19번~22번의 내용들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해설지를 보면 가난한 소지를 단풍으로 해석하셨는데 어떻게 이런 내용을 해석해야하는지 궁궁합니다..

또 이번 모의고사 대비 문제 '관동별곡' 

화풍(和風)이 습습(習習)하여 양액(兩腋)을 추켜 드니,

구만리(九萬里) 장공(長空)에 적이면 날리로다. 에서 [B]의 ‘구만리 장공에 적이면 날리로다’에는 삶의 지향점을 찾아낸 화자의 가벼운 심리가 드러나 있다. 라는 문제가 있었는데 해석이 잘 안되서 그런지 좀 헷갈립니다  왜 그런건가요??

고전시가를 잘 해석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jjw9830 2017-03-01 오후 5:57:00

교재22쪽(다)시에서 질문하겠습니다

1.11줄에서 멍울이 해설지에는 꽃망울이라고 해석되어있는데 멍울과 꽃망울이 무슨 관련이죠?
2.12줄에서 성화의 뜻이 뭐죠?

3. 21줄에서 나무들이 단풍이 든 사이 단풍이 없을 때 를 왜 불타는 소신공야 틈새 가난한 소지라고 표현하였죠?
4.22줄에서 왜 단풍이 드는 것을 지펴 라는 단어로 표현한 거죠?

ms0946 2017-03-01 오전 10:59:42
2권 예제 19번 같은 문학문제에서 A를 통해 B를 드러내고 있다와 같은 구조에서 A와 B의 상관관계를 따지지 않아도 되는 이유가 출제자가 A에는 형식을 넣고 B에는 내용 의도등을 넣어서 문제를 만드는 구조이기때문인가요?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3권의 문항중 보기 선지는 A/B 구조인데 소설내용상 A/B 인과관계가 맞지 않아서 틀려서 답이 되는 선지가 있던데 (맹인이 도망가려는 종에게 길하다라고 한문제) 이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요?
wangwendy 2017-03-01 오전 1:07:46

선생님 교재 21쪽 선제리 아낙네들 읽고 질문 드립니다. 6행부터 8행까지 이해를 잘 못한 것 같아요ㅜㅠ   밤 기러기 드높게 날며 추운 땅으로 떨어뜨리는 소리가 어떤 의미인가요? 그리고 그 소리와 까여다여 따위 말끝과 비슷하다는 의미가 맞나요?

sse276 2017-02-28 오전 9:52:46
선생님ㅎㅎㅎ 제가 저번에 그 다른친구 질문 복사 붙여넣기해서 질문한 학생입니다 ㅎㅎ 정말 질문을 하려고 들어요면 다른 친구들의 글을 읽게되고 그러면 공감이 가고 저도 같은 질문을 하고 싶어집니다.. 모든 글을 비공개 처리하면 안될까요..?ㅠㅠ 제 친구들한테도 물어보니 다들 저처럼 다른 친구 글에 달린 답변이 많이 궁금하다고들 합니다ㅎㅎ 의견 참고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