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등록
erickang0311 2017-05-02 오후 7:11:34

의식의 흐름을 통해 사건을 요약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라는 선지에서 의식의 흐른다는 것은 어떤 부분을 통해 알 수 있는건가요 (Analysis 36쪽)       

 

같은 문제에서 등장인물의 독백을 직접 인용하여 내면을 보여 주고 있다 에서 등장인물의 독백을 직접 인용하는 것은 어디를 통해 알 수 있나요 

clarao33 2017-05-02 오후 12:52:36

Vol2 37쪽에 예제 18번에서요

2번 선지에서 '일상적 삶을 추구하는 인물' 이랑 '현실과 거리를 두고 있는 탈속적 인물'은 둘 다 지문을 통해 유추할 수 없는 것인가요?

39쪽에 3번의 관조적 태도는 A와 B중 어느부분에 나타나나요? 그리고  5번에 '시적 상황을 압축적으로 표현한다'는 A의 맨 마지막행 같은 건가요

그리고 '우의적 소재'와 '성격을 희화화'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bluey0410 2017-05-01 오전 8:17:42

쌤!

고전소설에서 '밝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나 '서사를 빠르게 전개하고있다' 같은 선지도 효과라고 할 수 있어요?

내용이랑 효과를 잘 구분을 못하겠어요 ㅠㅠ .. !

clarao33 2017-04-30 오전 10:49:45

대화형식이라는게 청자의 답이 포함되어 있어야 대화형식인가요? 그냥 단순히 청자에 대한 언급이나

'너' 나  누굴 부르는 행위등은 대화형식에 포함되지 않는 거죠?

그리고 관습적 표현이라는게 한자나 어려운 말이 포함되어 있는거라고 볼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clarao33 2017-04-27 오후 11:58:42

쌤!

Vol1 p116에서요 25번과 29번 문장을 통해서 101번 3번 선지같이 '나'가 자신의 현실 대응 방식을 반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나요?

Vol3 p23에서 존재탐구와 자아성찰은 다른거라 하셨잖아요 존재탐구가 정확히 뭐에요?

         p29지문을 프린트 보니까 '항성년이 정확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이라고 나와있는데 그건 어떻게 알아요? 그냥 14번 문장같은 문장들로 유추해 낼 수

        있는건가요

감사합니다~ 

enffl3355 2017-04-26 오후 11:33:21


vol.1권 49페이지에서 19번 문제 1번 선지에 (A)는 권력자에 기대어 말한다고 한점이 답지에선 틀리다고 표시가 안되어 있는데 토끼가 (A)부분에서 말할 때 권력자에 기대었다고 했다고 알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요? 또 같은 문제 5번 선지에 다른 인물까지 청자로 상정하고 있다고 한 부분에서 '다른 인물'이 가리키는 게 만조백관인가요? 또 '청자로 상정한다'는 것과 '청자로 설정하였다'라는 진술은 차이를 갖고 있나요?

enffl3355 2017-04-26 오후 11:28:34

                            vol.1권의 39페이지에서 7번 문제 5번 선지에 (나)시에 서술어의 제한적 사용이라고 나와있는데, 서술어의 제한적 사용이라는 게 명사로 문장을 끝내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파악하면 될까요? 그리고 vol.1권 43페이지 10번 문제 4번 선지에 서술하는 시간과 서술되는 시간이 나와있는데 서술되는 시간은 소설에서 다루는 사건이 언제 일어났는 지를 보고 서술하는 시간은 서술자가 현재 어떤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면 될까요?
enffl3355 2017-04-26 오후 11:24:07

                            vol.1권에 39페이지에서 5번문제 1번선지에서 현재 상황을 제시한다고 했는데 주로 화자의 현재 상황 제시라는게 부정적인 상황일 때 나타나나요? 그리고 6번 5번 선지에 의미의 집약이 있는데 시상의 집약은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요?